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대형 국유은행의 자본을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하면서, 4대 국유은행이 총 5200억 위안(약 71조 6000억 원)을 투자자들로부터 조달할 계획이라고 3월 31일(일) 밝혔다. 이번 자금 조달에는 중국 재정부도 참여할 예정이며, 방식은 제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다.
이번 조치는 이달 초 중국 당국이 실물 경제 지원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요 국유은행에 총 5000억 위안을 재자본화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관련 계획 발표 다음 날인 월요일, 해당 은행들의 주가는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은행별로 보면, 중국은행(BOC)은 최대 1650억 위안을, 중국건설은행(CCB)은 최대 1050억 위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교통은행은 최대 1200억 위안 규모의 주식을 매각할 예정이며, 중국우정저축은행은 최대 1300억 위안을 유치할 계획이다.
재정부는 이들 네 개 은행의 주요 주주로서 자본 확충에 모두 참여하며, 특히 교통은행의 경우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재정부가 최대주주로 올라설 전망이다.
최근 중국의 대형 은행들은 경기 둔화와 부진한 부동산 시장 여파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으며, 연간 순이익은 정체된 상태다. 순이자마진(NIM)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장기적인 수익 구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은행들이 더 많은 대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신속하게 자본을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해 왔다. 이는 침체된 경기 회복과 함께 자산 건전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수 조치로 평가된다.
올해 안으로 중국의 기준금리가 추가 인하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은행들의 수익성은 한층 더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화된 부동산 시장 침체와 함께 경기 둔화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은행들은 복합적인 재정적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셈이다.
한편,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지난해와 동일한 ‘약 5%’로 설정했다. 당국은 미국의 대중 무역관세 여파와 디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펼치겠다는 방침도 함께 밝혔다. 이 같은 배경에서 이번 국유은행 자본 확충은 경제 성장세를 유지하려는 중국 정부의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More Stories
스타벅스, 1,100명 감원 발표…본사 직원 원격 근무 지시
아시아 증시, 월가 상승세와 호주 실업률 하락에 힘입어 상승
대한민국 연봉 피라미드: 상위 1% 연봉과 5000만원의 위치